본문 바로가기

발행인 이승헌

이승헌 총장 지구경영이야기, 기억해야 할 맹세 복본複本

 

 

≪이승헌 총장 지구경영이야기≫

 

 

복본의 맹세를 기억하고 우리 안의 황궁을 깨워야 합니다.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 박제상이 쓴 역사서 『징심록澄心錄』의 한편인 <부도지符都志>를 보면 우리 민족의 오래된 창세설화인 ‘마고성麻姑城 이야기’가 나옵니다. 마고성 이야기에서 나는 지구경영의 희망을 발견하였습니다.

 

아주 오래 전 천지창조는 율려律呂로 일어났습니다. 율려를 통해 별들이 생기고 우주의 어머니 마고가 잉태되고 태어났으며,  마고는 율려를 타고 지구를 삶의 터전으로 만들었습니다. 무리가 1만2천명이 넘었을 즈음, 그들은 지구상의 가장 높은 곳인 파미르 고원 한 곳에 ‘마고성’이라는 이상적인 공동체인 부도符都를 이루며 살았습니다.

 

 

 

 

마고성에 사는 이들은 품성이 조화롭고 깨끗하며 하늘의 소리를 들 수 있었습니다. 율려를 체득하여 자신과 우주가 하나임을 알았으며, 지혜로운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천성天性을 따라 평화롭게 살았습니다.

 

그런 이들이 어느 날 포도를 맛보고 오감이 깨어나자 맑고 순수한 본래의 천성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욕망과 감정으로 서로 다투고 시기하여 마고성이 매우 혼탁해지자, 마고성의 장자인 황궁黃穹씨는 마고성을 보존하기 위해 모두가 성을 떠나 이주할 것을 명하였습니다.

 

황궁씨 자신도 네 무리 중 한 무리를 이끌고 지금의 동아시아지역에 해당하는 북쪽 천산주에 정착했으며, 마고성과 같은 이상적인 공동체를 다시 세우겠다는 복본複本의 서약과 함께 하늘의 징표인 천부삼인天符三印을 첫아들에게 물려주었습니다. 복본의 의미가 담긴 천부삼인은 그렇게 하여 황궁씨에서 유인씨에게 다시 한인에게로 전해졌습니다. 한인은 한웅의 아버지이며, 한웅은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 이념으로 이 나라를 세운 국조 단군의 아버지입니다.

 

 

 

 

 

마고성에서 우리 모두는 한 뿌리였습니다.

우리의 아버지의 아버지,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의 어머니, 어머니를 따라 올라가면 하나가 되는 마고성의 그 때가 인류가 되찾아야 할 영혼의 고향입니다. 복본은 마고성이라는 지리적 공간으로 회귀하자는 의미가 아닙니다. 태초에 인간이 가진 본래의 모습, 순수한 본성을 회복하는 의미입니다. 마고성 시대에는 모든 것이 자재율自在律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인간의 행동을 구속하는 인위적인 법이나 제도가 필요 없었습니다.

 

모든 사람이 순수한 본성을 따라서 살았기 때문에 각자 자유롭게 행동을 하여도 다른 사람에게 전혀 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모든 것이 조화롭고 평화로웠습니다.

 

 

 

 

오미의 변으로 본성을 잃고 감각과 욕망에 빠지면서 자재율이 파괴되자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인위적인 규칙과 제도들이 생겨났습니다. 하나의 규칙은 또 다른 규칙을 만들고, 하나의 시스템은 또 다른 시스템을 만들었으며, 인류는 점점 더 많은 규칙들과 시스템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햇빛, 물, 공기, 온도, 지구와 같은 자연적이고 절대적인 가치를 상실하였습니다. 자신의 참자아와 같은 본질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잊고 오로지 돈, 명예, 권력, 구원救援과 같은 인위적인 가치들을 중요시 여기게 된 것입니다.

 

황궁의 복본에 대한 맹세는 단지 한 개인의 맹세가 아닙니다. 그것은 인류 전체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집단적 맹세이며,  그러한 복본의 맹세가 지금처럼 표류하는 인류문명에 나침반으로 쓰여야만 합니다. 이제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잊고 지내온 복본의 맹세를 다시 기억해내고 지금 여기에, 21세기 지구에 마고성을 복원해야 합니다. 인성을 회복하여, 인간사랑과 지구사랑으로 개인과 전체가 함께 완성되는 문화를 실현함으로써 복본의 맹세를 이루는 것입니다.

 

지구경영은 우리 안에 있는 복본의 맹세를 기억하는 것이며, 우리 안의 황궁을 불러 깨우는 것입니다.

 

 

 

 

 

 

 

 

 

 

 

≪ 이승헌 총장 일지희망편지 ≫

 

 

 

내 삶의 보물지도

 

 

 

주인공이 험난한 역경을 헤치고 보물섬을

찾아가는 모험 영화들을 보면 보물지도는

언제나 등잔 밑이 어둡다 싶은 곳에

숨겨져 있게 마련입니다.

 

우리 인생의 지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저는 많은 분께 권합니다.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마음에 기대는 대신,

각자의 '뇌'에 집중해 보라고 말입니다.

 

 

우리가 늘 머리 위에 얹고 다니지만

몸의 어떤 장기나 부위보다 무관심하게

방치되고 있는 것이 뇌입니다.

 

 

 

 

 

뇌를 상상하시고 뇌를 머릿속에 떠올려 보세요~

잠깐이라도 뇌에 관심을 주시면 많은 창조력과 즐거움이 살아납니다.  ^^

 

 

 

 

 

 

 

 

 

 

 

 

[발행인 이승헌] - 이승헌 우리말, 얼굴의 9개 구멍은 에너지와 정보가 드나드는 통로입니다.

 

[이승헌 일지희망편지] - 마음을 바꾸고 싶다면 - 일지희망편지

 

[발행인 이승헌] - 이승헌 체인지 메시지 - 액션이 없으면 창조도 없습니다.

 

[발행인 이승헌] - 이승헌 총장 칼럼 - '정신문화의 한류', 한국식 명상과 뇌교육으로 시작합니다.

 

[발행인 이승헌] - 이승헌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총장, 천안시에서 감사패를 받았습니다

 

[발행인 이승헌]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TV조선 2015 경영대상 참교육 경영대상 수상하였습니다.

 

[발행인 이승헌] - TV조선 2015 참교육 경영대상 수상 - 이승헌 총장